본문 바로가기

오뚜기의 데이터 분석 이야기

수작업 온라인 이슈(여론) 분석 사례 여기는 소셜인사이트 랩 주인장이 운영했던 기존 블로그입니다 --> 소셜인사이트 랩 주인장 보러 가기 지니캡님의 http://www.uxkorea.com/archives/1525 글을 읽으니, 저도 몇 년전 호기심에 비슷한 분석을 한적이 있어 기록 차원에서 글을 올립니다. 2009년에는 제가 메트릭스라는 리서치 회사에서 열심히 "온라인 버즈 리서치" 프로젝트에서 리서처이자 PM 으로서 오늘날 소셜 분석이라고 불리는 분야의 분석을 수동 수집, 수동 분류, 수동 보고서 작성이라는 라는 쌩노가다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을 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특정 이슈 발생 시 온라인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지 관심이 당연히 많았는데요, 2009년 11월 마침 "미녀들의 수다" 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루저"라는 이슈가 .. 더보기
디지털 마케터들이여 데이터를 보는 눈을 길러라!! 작년 9월 쯤 저는 트위터에 아래와 같이 디지털 마케터에게 데이터가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는 리포트를 하나 공유했었습니다. http://twtkr.olleh.com/ottugui/status/113944941616566273 출처 : http://econsultancy.com/us/blog/7979-five-reasons-why-data-is-more-important-than-ever-for-digital-marketers 웹로그 분석 전문가 --> CRM 컨설턴트 --> 소셜 데이터 분석 전문가 --> 웹 분석 전문가의 길을 걸어온 저의 커리어 경로가 2012년 들어 드디어 수많은 기회를 맞딱드리게 해 줌을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후배 디지털 마케터 여러분~~ 우리 모두 데이터의 바다 속으.. 더보기
소셜 상에 공유된 링크에 대한 여러가지 유의미한 데이터.. 소셜 미디어가 활성화 되면서 소셜 미디어 공간에 공유 되는 링크는 날로 늘어가고 있습니다 사실 소셜미디어의 가치 중 하나가 정보의 확산 및 공유이기 때문에 어쩜 당연한 일이지요.. 소셜 공간에 공유되는 링크를 줄여주는 bit.ly 에서 이 공유 링크들에 대한 몇가지 의미있는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첫째로, Bit.ly 에서는how long it takes for a shared link to receive half the clicks it will ever receive(공유된 링크가 획득할 전체 클릭 수의 절반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the shared link half-life라는 지표를 개발하여 소셜 공간에 공유되는 링크들은 대부분 공유된 지 채 세시간이 지나기도 전에 전체 클릭 수의 .. 더보기
Social Media & Big Data 출처 : How social media and big data will unleash what we know 소셜미디어로 인해 Business Intelligence 를 위한 Big Data 기술도 덩달아 발전할 거라는 이야기...http://www.zdnet.com/blog/hinchcliffe/how-social-media-and-big-data-will-unleash-what-we-know/1533 관련 된 이야기 --> http://goo.gl/cytip 더보기
재미있는 조사 결과 공유 -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유입 경로 분석 Outbrain 이라는 Contents Discovery Platform 업체에서 이번에 재미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Contents Discovery Platform 이라는 말 자체가 이해가 안 돼 도대체 무슨 비즈니스를 하는 업체인지 좀 살펴보았더니, 블로그가 됐던 신문사 사이트가 됐던 개별 기사 하단에 관련된 글 보기 기능을 썸네일로 보여줘서 독자가 하나의 기사만 보고 나가지 않도록 발목을 잡게 도와주는 위젯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더군요. 위에 보이는 화면처럼 위젯을 개별 기사 하단에 배치시키면 확실히 다른 컨텐츠를 읽도록 지속적인 유도가 가능할듯 합니다. 워드프레스, 블로거, 드루팔 등 다양한 플랫폼 지원을 하네요.. 제가 운영 중인 또 하나의 블로그 (http://social-insi.. 더보기
소셜 공유 기능의 ROI 측정 7/14일 세미나 후 소셜 공유 기능의 ROI 측정에 대한 문의가 있어, 강연 A/S 차원에서 관련 주제를 제가 운영하는 연구 전용 블로그인 소셜 인사이트 LAB에 포스팅하여 정보 공유해드립니다. 1) 페이스북 라이크 버튼 통계 보기 (http://bit.ly/bAvp2a ) 2) 컨텐츠에 대한 Copy행위 트래킹하기 (http://bit.ly/acxizn ) 그 외 Topsy 라는 툴을 이용하면, 자신의 웹사이트 개별 컨텐츠에 대한 트윗/리트윗 통계도 확인 가능한데요 혹시 관심 있으시면, http://bit.ly/cZNPSd 페이지를 확인하시거나, 차 주 포스팅을 기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보기
페이스 북 라이크 버튼 통계 보기 개별 블로그 포스팅에 라이크 버튼을 달고 그 통계를 보기 위한 방법을 스터 일단, 라이크 버튼 다는 법은 http://developers.facebook.com/docs/reference/plugins/like 페이지에서 url 이랑 원하는 폰트를 선택한 후 제일 아래 Get Cod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Get Code 누르면 뜨는 팝업에서 iframe 으로 된 부분을 카피해서 사이트 내 자신이 원하는 위치에 코드 삽입을 해 주면 되는데요.. 만일, 사이트에 라이크 버튼 하나만을 달지 않고 개별 Article 별로 라이크 버튼을 달고자 할 경우 테터툴즈의 경우 코드 내 href=뒷부분을 살짝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아래 예시 참고) 이렇게 라이크 버튼을 사이트에 단 다음에는 http://develop.. 더보기
소셜 미디어 마케팅 측정 관련 슬라이드 3페이지 오늘 제안서 작성했던 내용 중 일부.. 더보기
케빈베이컨의 6단계 법칙이 트위터 5단계로?? Sysomos 라는 소셜미디어 분석 업체가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케빈베이컨의 6단계 법칙 (6 다리만 걸면 다 아는 사람이라는 이론...)이 트위터 세계에서는 5단계만 거치면 다 아는 사람이라고 하네요. 상세 내용은 여기서 --> http://sysomos.com/insidetwitter/sixdegrees/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는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 6단계 법칙은 트위터 세계에서는 실제로 5단계.. --> 트위터 네트워크 그래프를 보면, 트위터 사용자들은 평균적으로 다섯 단계를 거치면 트위터 이용자 전체의 83%를 만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트위터 네트워크 자체가 이미 훌륭한 사회적 연결망 이기 때문에 이론 상으로는 꽤 많은 수의 사람들에게 도달하기 위해 그렇게 많은 RT가.. 더보기
Social Media Monitoring Wiki Social Media Monitoring Wiki Showing 133 itemsCompany NamePlatform NameMedia Type CoverageURLFree/PaidCountrySubmitted BySort Sort Sort Sort Sort Sort Sort Radian6 Radian6 All http://www.radian6.com Paid Canada Ken Burbary Techrigy SM2 All http://www.techrigy.com Paid USA Ken Burbary Google Blogsearch Blogs http://blogsearch.google.com Free USA Ken Burbary Twitter Twitter Search Twitter http://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