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문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직의 역량은 프로세스에서 나온다. 인사가 만사라고 한다. 그리고, 나는 정말 맞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혼자서 일을 척척 해결하기만 하는 인재가 좋은 인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런 인재는 조직에 큰 기여를 하지만, 때로는 독이 될 수도 있다. 자신의 일을 자신만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업무 백업 체계를 갖추지 않고, 혼자서 일당백을 하는 경우. 이 인재가 불의의 사고 또는 개인 신상의 이유로 인한 갑작스런 퇴직과 같은 일이 발생했을 경우 조직은 필연적으로 업무 마비 사태를 맞게 된다. 그래서, 큰 조직일수록 이런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개별 구성원을 하나의 큰 프로세스의 흐름 속에 존재하도록 하고,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인재를 크게 보상한다. 큰 프로세스의 흐름 속에 존재하는 개인이란 결국은 굴러가는 거대한 톱니바퀴.. 더보기 [펌] 주당 20시간 근무하는 회사 참으로 공감가는 글인지라 퍼온다... (흠...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게 펌질이라니...) ------------------------------------------------- 원문 --> http://agile.egloos.com/1386318 20%의 여유시간. 80%의 업무시간. (MediaFlock) 이거 정말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무척 중요한 일이기도 합니다. 저희 회사에서는 근무시간이 기본적으로 주당 20시간(하루 평균 4시간 꼴)입니다. 나머지 시간에는 자기 계발, 스터디, 체력단련, 사교모임, 취미생활 등을 함께 혹은 따로 합니다. 이 주당 20시간의 아이디어는 제 개인적 경험에서 나왔습니다. 예전에 써뒀던 글을 인용하겠습니다. 나는 이런 경험이 있다. 하루 8시간 일할.. 더보기 [펌] 조직 창의성 발현의 비결 인상깊은 문장... 우리 기업들은 1등 인재를 뽑아서 2등 인재로 활용하고 바보로 만들어 내보낸다 비결 1. 입은 작고 귀가 큰 리더십을 갖춰라 비결 2. 건설적인 실패를 적극 장려하라 비결 3. 기존 관습에서 벗어나도록 자극을 주어라 비결 4. 시스템으로 관리하라 비결 5.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라 http://www.lgeri.com/management/organization/article.asp?grouping=01020200&seq=350 더보기 [펌] 융통성 없는 규칙은 당신의 목을 죈다. 어느 날, 비교적 눈에 띄는 청바지 차림의 한 신사가 은행 안으로 걸어 들어왔습니다. 그는 사업상 그 은행과 새로운 거래를 시작할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그날따라 담당 직원이 하루 종일 외근중이라며 그에게 해당 업무에 대한 상담을 해줄 수 있는 직원이 없으니 다음 날 다시 방문해 달라고 다른 여직원이 말했습니다. 하는 수 없이 그는 그렇게 해야겠다고 생각하며 주차증에 확인을 받기 위해 그 은행 여직원에게 자동차 주차증을 보여 주었습니다. 그러자 그 여직원은 정중하지만 단호한 어조로 은행 방침상 아무런 업무상의 거래가 없는 고객에게는 주차증에 확인을 해줄 수 없다고 그에게 말했습니다. 그러자 그 신사는 사업상의 거래를 위해 왔다가 담당 직원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된 것이니 사정을 봐달라고 거..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