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크랩/마케팅전략-사례

[펌]검색 엔진 가시화(Search Engine Visibility) 전략의 부상

관심가는 부분만 발췌..
--------------------------------------------------------------------------------------

1990년 중반 이래로 많은 기업들과 단체들이 자사의 독자적인 웹사이트로의 트래픽 유입에 신경을 썼다면, 이제는 미디어, 블로그, 트위터 등 소셜 컨텐츠를 포함한 다른 사이트를 통한 자사의 컨텐츠를 발전시키고 모니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고 있습니다. 따라서, 양질의 컨텐츠와 이를 중심으로 소셜 네트워크 관계 구축에 초점을 둔허브앤스포크(hub-and-spoke)’ 전략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습니다.

양질의 신선한(Fresh) 컨텐츠 개발

구글은 많은 정적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이트보다는 양질의 컨텐츠를 자주
, 보다 빠르게 생산하는 사이트를 위주로 인덱스화하여 보여주며, 이런 이유로 검색 결과에는 기업의 홈페이지뿐 아니라 미디어, 일반 개인이 운영하는 블로그, 비디오 영상, 이미지들의 검색 결과가 늘 함께 보여집니다. 이런 이유로 가끔은 미디어 기업들의 불만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2009 3, Advertising Age는 여러 상위 미디어 기업들이 구글에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보고한 적이 있는데요, 뉴욕타임즈는 최근 회자되었던 가자(Gaza)’ 지구 검색과 관련, 심지어 자사 기자가 가자 지구 현장에서 전쟁 뉴스를 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글에서는 아웃데이트된 BBC 뉴스나 위키피디아, 반셈(anti-Semitic) 민족 유투브 동영상 등이 상위에 보여지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습니다.

소셜 네트워크 관계 구축

양질의 컨텐츠가 검색 엔진 가시화에 격이라면, 소셜 네트워크 관계 구축을 통해 생성, 증가하는 링크는 여왕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링크는 검색 엔진 시스템에 중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구글의 페이지랭크(PageRank)’의 경우 1부터 10까지 인터넷상 모든 페이지의 영향력을 점수화하고 있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검색 결과에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다른 페이지로부터 많은 링크가 자주 걸리게 되는 특정 페이지일수록 높은 페이지랭크를 보유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러나, 요즘 검색 엔진은 더 나아가,정적인 링크만을 보유한 사이트보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와 긴밀하게 연결된 컨텐츠를 보유한 사이트를 더 민감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기업 블로그 포스트 내용이 트위터 상에서 다양한 토론을 발생시키고, 이후 CNN.com에서까지 그 내용이 게재되어 링크로 연결이 되면 그 포스트의 랭킹은 관련 키워드 검색 결과에 높게 반영이 되는 것이죠.

이런 소셜 네트워크 허브 안팎을 연결하는 링크는
디지털 사절단역할을 하며, 기업들은 기존 유료 검색 및 최적화 검색을 통해 자사의 홈페이지로 트래픽을 유도함과 동시에,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내 링크라는 디지털 사절단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관계 구축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 한가지
! 검색과 소셜 네트워킹의 결합에 따라 기업에 대한 많은 목소리가 내부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속보 발생시, 트위터 서치(search.twitter.com)가 구글 뉴스보다 더 각광받고 있는 추세가 이를 설명하고 있으며 너무나도 인기 있는 나머지, 트위터는 이 기능을 메인 인터페이스로 지정하고 있죠.


레퓨테이셔널 검색(Reputational Search)실행 방법

레퓨테이셔널 검색은 전통
 PR 방식과 SEO 전략의 혼합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쉽습니다.보도자료 배포, 기업 뉴스룸, 미디어 릴레이션, 블로거 참여 등을 통한 전통 미디어 및 소셜 미디어 커버리지 유도뿐 아니라, 검색 결과에 영향을 주는 방법이기 때문이죠.

다만
, 차이가 있다면 기존 PR 업계 종사자들이 대부분 독자(readers)들을 염두하여 핵심 메시지를 개발, 가공하고 보도자료에 녹여 미디어 커버리지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함에 반해, 레퓨테이셔널 검색은 검색자(Searchers)를 고려했다는 것입니다. , PR 업계 종사자들은 일반인들이 검색(Search) 때 입력하는 단어나 문구보다는 작성(Writing)시 사용하는 단어들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두통을 앓고 있는 사람은 주로 검색 창에 두통 치료 방법을 입력하지, 반드시 아스피린이란 단어를 입력하지는 않는다는 것이죠. 한편, 향후에는 어떤 사이트의 경우 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arch Engine Results Pages, 이하 SERPs)에서 특별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이며, 현재에도 어떤 블로그들은 언론 미디어 사이트보다
높은 구글 페이지랭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레퓨테이셔널 검색프로그램에는 3가지 기본 요소가 있습니다. 리서치/기획, 컨텐츠 개발 그리고 평가이죠. 리서치 단계에서는 사람들이 검색 시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단어를 찾고 SERPs상에서 그 단어들의 검색 결과를 비교해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차’, ‘커피등의 단어나 문구와 프리우스’, ‘스타벅스등의 브랜드 키워드명은 SERPs에서 많은 경쟁구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하 생략


--> http://blog.edelmandigital.kr/77 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