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웹소식&트렌드/블로그및RSS정보

RSS란 무엇인가?

RSS란 무엇인가
자신의 웹사이트가 좀 더 사람들로 붐비기를 원하는가? 자신의 뉴스나 기사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 유익하게 전달되기를 바라는가? 그렇다면 RSS에 관심을 기울여보자. 준비해야할 것은 단지 보여주고 싶은 내용을 마련하고 하나의 RSS 파일에 적는 일 뿐이다.
RSS란 무엇인가?
RSS(Rich Site Summary)는 웹컨텐츠와 그것의 제목과 내용등의 것들을 공유하기 위한 경량의 XML 포맷이다. 쉽게 생각해서 자신의 웹사이트의 대문에 있는 '새로나온 기사'나 '뉴스'같은 것을 떠올려보라. RSS는 넷스케이프에서 지원하는 넷센터(NetCenter)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이것이 BBC,CNET,CNN등의 여러 사이트들이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발전하였다. RSS는 자신의 웹사이트를 널리 알리고 분산된 뉴스를 모으고 배포해야하는 문제는 해결해준다.
RSS의 문법
따라서 RSS의 XML 문법을 익혀야할 것이다. RSS는 필수적으로 웹사이트에 대한 내용을 기술해야하는 부분과 추가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부분으로 나뉜다. 모든 것은 스토리(Story) 단위로 묶여지는데 이 스토리를 태그안에 넣어서 이 안에 TITLE,URL, DESCRIPTION등의 엘리먼트들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보자.
...
<item>

<title>RSS Resources</title>

<link>http://www.webreference.com/authoring/languages/xml/rss/</link>;

<description>Defined in XML, the Rich Site Summary (RSS) format has

quietly become a dominant format for distributing headlines on the Web.

Our list of links gives you the tools, tips and tutorials you need to get

started using RSS. 0323</description>

</item>
...
각 RSS 채널은 15개의 item들로 구성되며 이것들은 펄이나 기타 여러 툴을 이용하여 쉽게 파싱이 가능하다. 물론 여기서 15개라 함은 넷스케이프의 NetCenter를 이용할 경우의 이야기이다. NetCenter는 15개 이상의 item이 들어있는 RSS파일을 거부한다. 아무튼 이렇게 자신이 운영하는 사이트의 RSS파일을 만들어놓으면 그것들을 여러 aggregator에 등록시키고서 자신의 사이트가 게재한 페이지의 카운터가 올라가는 지 살펴보면 땡이다.
많은 RSS Aggregators들이 있다. 그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 바로 Meerkat Open News Wire(http://www.oreillynet.com/meerkat/) 이다. 이는 RSS를 개량하여 O'Reilly에서 만든 것으로서 RSS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일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