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식&트렌드/블로그및RSS정보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크랩] 블로그 시대의 기업 경영, 정직과 신뢰가 최우선이다 출처 : http://www.samsung.co.kr/article.do?cmd=view&numb=1&searchCategory=1&contentId=119546&sortWord=regdate&searchColumn=all&searchWord=&searchCompany=-1&startDate=&endDate=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 블로그를 통하면 그렇다는 얘기다. 블로그에 올라온 화제성 글은 네티즌들의 퍼 나르기를 통해 순식간에 확산되어 마침내 사회의 이슈로 떠오른다. 이는 기업 경영환경이 더 한층 역동적이고 불확실해지고 있음을 예고하는 신호탄이기도 하다. 기업들은 이제 블로그를 통해 고객 니즈를 파악하는 한편 신규 비즈니스를 창출하는 등 환경 변화에 총체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 더보기 [스크랩]온라인 위기관리,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대화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는 말을 기업의 입장에서 다시 생각해 보면 '인터넷은 위기의 바다'이다. 예상치 못한 곳에 어떤 허방이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더구나 '공유ㆍ개방ㆍ참여'가 특징인 웹2.0 시대를 맞아 바다의 파고는 한층 더 강력해졌다. 인터넷을 '기회의 바다'로 만들기 위해 적극적으로 웹을 관리하고 활용해야 하는 시대를 맞고 있는 것이다. 기업의 온라인 위기관리, 다섯 가지 단계를 소개한다. 이제 인터넷은 또 하나의 '우주'이다.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무한 진화하고 있는 인터넷 세상을 이해하는 일은 기업에겐 이제 필수가 됐다. 인터넷은 기업이 타깃으로 하는 소비자들이 거의 실시간으로 검색엔진, 이메일, 블로그, 파드캐스트, 동영상 공유 사이트, 이미지 공유 사이트 등을 통해 뉴스ㆍ이미지 및 .. 더보기 [스크랩]블로거들의 비난을 지지로 뒤바꾼 델 컴퓨터에서 배운다 출처 : http://www.samsung.co.kr/article.do?cmd=view&numb=1&searchCategory=1&contentId=119533&sortWord=regdate&searchColumn=all&searchWord=&searchCompany=-1&startDate=&endDate= 블로그 때문에 위기에 빠지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더 높이 비상하는 기업도 있다. 엇갈리는 두 개의 희비 곡선을 모두 경험한 기업이 바로 델 컴퓨터이다. 고객 서비스에 대한 불만이 담긴 글을 무시한 결과 전 세계 PC 판매 1위의 자리를 HP에게 넘기기도 했지만, 적극적인 혁신을 통해 다시 고객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기업으로 거듭났다. 델 컴퓨터는 그 위기를 어떻게 벗어났던 것일까. '공유.. 더보기 [펌] 기업들이여, 블로그 마케팅을 시작하라. 기업들이여, 블로그 마케팅을 시작하라. 작성자 Rationale 안녕하십니까, 스마트플레이스의 Rationale입니다. 새롭게 스마트플레이스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자주 인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TV, 라디오, 신문과 같은 크고 오래된 미디어들부터 인터넷 언론처럼 새롭게 대두되는 작고 신선한 미디어들까지, 세상에는 많은 종류의 미디어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각각 고유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광고를 유치하여 매출을 창출합니다. 우리는 매일 소비하는 미디어들과 함께 광고도 소비합니다. 신문 하단의 광고나 드라마 내부의 PPL는 매우 익숙한 모습이라서 이젠 당연한 일처럼 생각됩니다. 하지만 블로그 마케팅은 실제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들에도, 그리고 블로고스피어에서 호흡하는 여러분들께도 아직 낯선 형태입니다... 더보기 [펌] 블로그 시대의 기업경영 블로그의 잇점과 리스크에 대해 사례를 들어 정리 잘 해 놓은 자료임. 특히, 일부 통계 데이타 있어 블로그 운영의 타당성 관련 보고서 쓸 때 활용할만함... 출처 : http://www.seri.org/db/dbReptV.html?g_menu=02&s_menu=0202&submenu=&nPage=&pubkey=db20051109001 더보기 요즘 애용하는 RSS 리더 요즘 내가 애용하는 RSS 리더는 다름 아닌 다음의 RSS 넷이다. 나는 왜 수많은 리더들 놔두고 RSS 넷에 안착하게 되었을까? 곰곰히 생각해 봤는데 아마도 별도의 설치가 필요없이 브라우저만 열면 된다는 거고 포탈 중 하나인 다음에 붙어 있으니 그래도 내가 활동하는 까페, 메일도 볼겸해서 겸사 겸사 깔아놓은 RSS 리더 놔두고 다음 주소를 치고 로그인하게 되는 것 같다. 여기서 잠깐 드는 생각 웹과 브라우저, 검색 인터페이스는 구글 스토리에서 언급되었던 것 처럼 플랫폼의 길을 가고 있나 보다. 전에는 PC에 설치해둔 SW 가 더 편했는데 이제는 주소를 치고 들어가는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그 곳에 있는 다른 것과의 시너지 때문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편하게 느껴지는게 아닌다. MS 와 구글의 싸움을 볼 때 이.. 더보기 블로그 인기도 측정하기 블로그 인기도 측정하기 --> http://feedmeter.net/ 에서 블로그의 RSS Feed 를 입력하면 됨. 헉, LG홈페이지 채용 정보 RSS 피드 인기도가 겨우 1.3 밖에 안 된다구? 흠... 더 분발해야 겠당.... ※ 인기도 측정 방법 . RSS feed의 구독자수 2. 다른 RSS feed로부터 그 사이트에 붙어있는 링크의 수 계산 방법과 자세한 내용은 비밀(!)이라고 하네요. -_-; 하긴 공개되면 다른 곳에서 마구 따라하겠죠. ㅋㅋ ◆ 갱신빈도 측정방법은 뭐, 엔트리가 얼마나 자주 올라오는지를 계산하는 것이구요. 5단계의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거의 갱신하지 않음 2단계: 1주일에 6회 이하 3단계: 1주일에 7회 (매일) 4단계: 1일 5회 이상 5단계: 1일 50회 이상 더보기 대학생, 블로그는 심심풀이? 많은 대학생들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지만, 단순 흥미용 심심풀이로 운영하는 것이 대다수로 운영도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명대 김영문교수팀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블로그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73.7%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리고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실태를 조사했는데, 66.1%가 블로그 1개를 운영하였고, 2개 이상을 운영하는 비율도 33.9%로 적잖은 비율을 나타냈다. 블로그를 운영하게 된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는 ‘단순 흥미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52.2%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나의 일상을 기록하기 위해서’(24.1%), ‘정보 및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서’(20.1%), ‘이성간의 교류수단을 위해서’(3.6%) 등으로 조사됐다. 많은 .. 더보기 블로그, 기업에게도 통한다 http://www.zdnet.co.kr/news/internet/0,39024414,39129301,00.htm 오랫동안 기업중심의 인터넷을 대중들에게 돌려주는데 큰 역할을 한 웹로그가 기업 툴 분야에서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사회적 미디어 비즈니스’. 캘리포니아 소재 대학인 하스 비즈니스 스쿨에서 열리고 있는 블로그온2004의 핵심주제다. 지난 22일과 23일 양일간 열린 이번 컨퍼런스에서 블로그 소프트웨어 업체들과 추종자들, 엔지니어들은 각각 기업과 개인적인 측면에서 이 온라인 일기가 얼마만큼의 영향력과 전망을 가지는가에 대해 논의했다. 이중에서 MS는 기업에게 블로그가 얼마나 유용한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예다. MS의 플랫폼 부서장인 렌 프라이어는 “MS가 기업의 투명성이나 내부공개에 있어 그.. 더보기 [펌]투자가들의 주목을 끄는 「RSS」 각 자매사들의 상품정보, 링크 정보를 현재는 CMS 를 통해 각 자매사 웹마스터들이 올리도록 관리하고 있지만 RSS 를 통해 기필코 CMS 없이 자매사 컨텐츠가 업데이트되면 대표 홈페이지도 바로 업데이트 되도록 연동시킬 생각!! 「RSS는 가속도적으로 보급하는 곳(중)까지 오고 있다」라고 페르드씨.「초기의 유저는 브로가들로,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다음에 RSS를 채용한 것은 온라인·컨텐츠의 출판사들이다.그리고 지금 기업도 RSS를 사용하기 시작하고 있다.RSS는 기업에서 주류의 기술이 되어 갈 것이다.이미 새롭기 때문에 채용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유저들이 RSS의 가치를 요구하고 그리고 꺼내는 형태로 옮기고 있다」 원문 : http://japan.daum.net/trans..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