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뚜기스토리

단상 하나.. 목표는 크게 원대하게...

사실 일이 무지 많다...

그러나, 일에 매몰돼 있다 보면
오히려 나의 예봉은 둔해져.. 쓸모없어질 것이기에

망중한.. 여유를 가지고 서핑을 하고 있는 중...

아래 글을 읽다 보니.. 어릴 적 우리 아버지가 해 주셨던 말씀이 생각난다..

"선영아.. 사람은 목표를 높고 크게 가져야 돼...
만일, 100%를 목표로 잡고 노력하면 반만 이뤄도 50%를 이루지만..
처음부터 50%를 바라보고 노력한 사람은 다 이뤄봤자 50%요,
반만 이루면 25%란다.."

ㅎ 그래서 난 항상 뱁새가 황새 쫓아가려 노력해 왔던듯 하다...ㅋ~~

----------------------------------------------------------------
미켈란젤로,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거기에 도달하는 것이 위험한 일이다
(예병일의 경제노트, 2009.04.28)

시스티나 경당의 천장화 작업이 반쯤 진행되었을 때 교황 율리오 2세(재위 1503~1513)가 그림이 언제쯤 끝나겠는지를 물었다. 미켈란젤로의 대답은 이랬다.
"교황 성하, 제가 그림을 완성하는 때입니다!"

미켈란젤로는 사람들에게 가장 위험한 일은, "목표를 너무 높게 잡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거기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129p)





"돌 속에 사람이 갇혀 있다. 빨리 꺼내주지 않으면 그들은 질식해서 죽어 버린다."

사람들이 왜 그렇게 열심히 조각을 하느냐고 묻자, 미켈란젤로가 했다는 대답입니다. 그는 돌 속에 있는 작품이 자신에 의해 꺼내어지기를 기다린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다비드 상을 만들었을 때도 이렇게 말했지요.
"나는 대리석 속에서 완벽하고 완전한 다비드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다비드가 아닌 부분만을 없앴습니다."

이렇게 열정적으로 조각에 매달렸던 미켈란젤로는, '목표설정'에 대해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목표를 너무 높게 잡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거기에 도달하는 것이 우리에게 위험한 일이다... 열정이 뚝뚝 묻어나오는 생각이지요.

목표에 대해서 이런 생각을 갖고 있었기에, 그는 89세를 앞두고 죽음에 임박해있을 때도 휴식을 권하는 의사에게 이렇게 말했을 겁니다.
"재촉하지 말아요. 나는 끌과 망치로 흰 대리석을 조각하는 일이 제일 좋아요. 죽으면 영원히 쉴 텐데."

목표를 너무 높게 잡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너무 낮게 잡아 거기에 도달하는 것이 우리에게 정말 위험한 일이다... 많은 것을 생각케해주는 미켈란젤로의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