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에 꽤 감명깊게 읽은 책인데...
이렇게 리뷰를 읽으니 새삼 다가오는 부분이 있는듯..
-------------------------------------------------------------
출처 : 모네타
** 한국에는 거주용 주택 외에 순수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 되는 사람이 7만 1000명(2004년 기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미국계 투자 회사 메릴린치와 프랑스계 컨설팅 회사 캡제미니가 발표한 <세계 부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이들을 부자라고 한다면, 한국 인구의 0.15퍼센트만이 부자에 들어간다.
이렇게 리뷰를 읽으니 새삼 다가오는 부분이 있는듯..
-------------------------------------------------------------
출처 : 모네타
** 한국에는 거주용 주택 외에 순수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 되는 사람이 7만 1000명(2004년 기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미국계 투자 회사 메릴린치와 프랑스계 컨설팅 회사 캡제미니가 발표한 <세계 부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이들을 부자라고 한다면, 한국 인구의 0.15퍼센트만이 부자에 들어간다.
그런데 이들 가운데는 30, 40대의 젊은 사람도 많다. 그들은 짧은 시간에 어떻게 많은 돈을 벌 수 있었을까. 이런 의문에 대해 부자이면서 재테크 전문가인 박용석 씨가 해결에 나섰다. 그는 젊은 부자 68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했고, 설문에 대한 답변을 받았다. 일반인들은 접근하기 어려운 부자의 영역을 헤집고 다니며 분석한 실체를 공개한다. **
* 시간이야말로 가장 유용한 자본이다

그들은 지금 수십억 원대 부자가 되었지만, 처음에는 다들 수천만 원으로 출발했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투자를 시작하는 데는 충분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은 작은 종자돈이 부자의 꿈을 이룬다는 사실을 잘 믿지 못한다.
전환사채 투자로 커다란 수익을 창출한 건물 임대 업자 배찬 씨(39)는 말한다.
"부를 창출하는 데 요구되는 것은 많은 돈이 아닙니다. '적은 돈' 과 '많은 시간' 이 필요할 뿐입니다. 그런데 이 같은 원리를 이해할 수 없는 사람들은 다음 두 가지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합니다. 첫째, 종자돈이 많으면 '짧은 시간' 에 큰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오해입니다. 둘째, 어떻게든 짧은 시간에 '많은 돈' 을 벌고야 말겠다는 공상입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돈보다는 시간을 많이 가져야 부자가 될 수 있습니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시간이 돈에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 평가한다. 하지만 젊은 부자들은 시간을 가장 강력한 재테크 무기로 사용한다.
해외펀드 투자 전문가 심근석 씨(36)의 얘기에 귀 기울여 보자.
"대체로 사람들은 학창 시절에 열심히 공부하고, 직장에 입사해서 열심히 일하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으면서 열심히 주택 대출금을 갚고 났을 때야 비로소 저축과 투자에 관심을 갖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아무리 큰돈을 저축하고 투자한다고 하더라도, 잃어 버린 가장 중요한 손실, 즉 시간의 효용은 결코 만회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깊이 깨달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리뷰-책,영화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버즈 입소문으로 팔아라 (0) | 2009.11.03 |
---|---|
[서평]아웃라이어-말콤글래드웰 (0) | 2009.02.16 |
성공의 기회를 알아채는 감각 - Horse Sense를 읽고... (0) | 2008.09.10 |
다크나이트.. 그리고... 씁쓸함.... (0) | 2008.09.02 |
[서평]육일약국갑시다 (0) | 2008.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