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에남는글

[펌]EXACT한 목표?

원글은 여기에 --> http://agile.egloos.com/5304902

EXACT한 목표?

 Best Practice in Performance Coaching이라는 책에서 저자는 SMART보다 EXACT라는 목표 기준을 추천합니다. 추천사를 써준, 비즈니스 코칭의 선구자 존 휘트모어(John Whitmore) 역시 SMART가 남용되고 있고 불완전하다고 하며 EXACT를 추천했습니다. EXACT를 보고는 무릎을 쳤습니다. 맞어!

  • EXciting
  • Assessable
  • Challenging
  • Time-framed
각각의 항목을 좀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EXciting

긍정적이고 영감을 주는 목표여야 합니다. 뭔가 촛점이 있어야 하고(너무 여러가지 섞여 있으면 집중이 어렵죠) 간명해야지 EXciting하기 쉽습니다. 목표를 생각할 때 기분이 좋아지고 정말 그렇게 되고 싶다는 생각이 일어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더 이상 X랑 안싸웠으면 좋겠다"는 부정적인 목표입니다(뭐를 안했으면 좋겠다는 것이므로). 대신 X랑 어떤 관계를 갖고 싶은지를 생각해서 긍정적인 목표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그 목표가 이루어진 모습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하고, 그 때 가슴이 뛰고 몸에 에너지가 흘러야 합니다.

Assessable

SMART의 "측정 가능"(Measurable)과 비슷한 것 같으면서 약간 다릅니다. 일단 Assessable은 Measurable과 비슷하게 뭔가 측정할 수 있는 걸 말합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정량적이고 정확한 측정까지는 필요하지 않고, 됐는지 안됐는지 여부만 확인할 수 있으면 된다는 것이죠.

이 때 몇 가지 주의점을 알려드리죠. 보통은 목적지보다는 경로를 목표로 삼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찾아낸다" 같은 목표는 경로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보다는 "매출을 두 배 올린다"가 이 기준에는 더 적합하죠. 목적지가 드러나니까요. 또, "회의에서 멋진 발표를 한다"라는 목표를 생각한다면, 그런 발표를 통해 어떤 목표를 이루고 싶은 것인지 생각해 봐야합니다. (예를 들면 자신의 제안이 채택되는 것이라든지)

이런 목표를 생각하기 어려울 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더 할 수 있습니다:

  • 어쩌구 저쩌구 하는 것의 결과는 무엇일까요?
  • 당신 삶 혹은 업무에 어떤 구체적/유형적 차이가 생길까요?
  • 이걸 통해서 어떤 걸 성취하고 싶으신가요?
  • 이것이 이뤄지면 당신은 어떤 행동을 하고 있을까요?
  • 그 때 주변사람들은 뭐라고 할까요?
무엇보다 간단하게 목표에 Assessable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목표를 세우는 사람(및 주변 관련인)이 이 목표가 이뤄졌을 때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몇몇 목표는 감정적, 정신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이런 Assessable 요소를 포함하기가 쉽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면 다음 질문들을 물어봅니다:

  • 주변 사람들은 당신이 그런 목표점에 도달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 이 목표를 성취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당신 주변에서 어떤 것을 보거나/듣거나/느끼시나요?
  • 예전에 없던 어떤 요소가 새로 생기게 되나요?
  • 예전에 당신이 못하던 것인데 이제는 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무엇인가요?
  • 당신 삶에 어떤 유형적 변화가 생길까요?

예를 들어, "허리를 2인치 줄인다"라는 목표가 표면적으로는 Assessable해보이니까 좋은 것 같지만, 사실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 말이 당사자에게 흥분과 열정을 이끌어 내지 못한다면 특히요. 밥도 적게 먹어야 되고, 힘든 운동도 해야될 것 같고, 목표만 생각하면 걱정이 드는 겁니다. 그런 경우, 목표를 "이번 크리스마스 모임에서 예전 원피스를 입고 좌중을 압도하겠다"로 바꾸면(마침 그 원피스 사이즈가 현재 허리보다 2인치 작다면) 훨씬 좋아지겠죠. 최고상태를 상상하니까 기분도 좋아지고, Assessable하기도 하니까요(원피스를 입을 수 있거나 없거나). 어쨌건 핵심은 앞서의 EXciting과 함께, 본인을 긍정적으로 자극해줄 수 있는 목표여야 하고 달성된 상태의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는 겁니다(그림이 나오면 동기도 강해지겠죠).

Challenging

자신이 하기 쉬운 것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삼으라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해보세요.
  • 만약 모든 장애물이 제거된다면, 목표가 뭐가 될까요?
  • 목표를 성취하지 못한다고 해도, 감옥에 가거나 자살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 당신이 "진정" 원하는 것은 뭔가요?
  • 자신이 목표로 삼아도 된다고 허용해줄 수 있는 건 어떤 건가요?
  • 인생의 목표는 어떤 건가요?

Time-framed

이 요소는 SMART의 T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너무 먼 미래의 이야기(10년 후에 어쩌구)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