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hbswk.hbs.edu/item/6185.html
Full Article 보기 -->
싸이월드 데이터를 이용, 친구가 구매 행위에 실제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
결과는?? It depends.. 그 때 그 때 달라요...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f friends' purchases on the purchase probability of a user.
친구의 구매행위는 사용자의 구매 가능성에 꽤 큰 그리고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users. Specifically, this social effect is zero for 48 percent of the users, negative for 12 percent of the users, and positive for 40 percent of the users.
그러나, 사용자 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사용자의 48%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자의 12%는 부정적 영향을, 40%는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Moderately connected" users exhibit "keeping up with the Joneses" behavior. On average, this social influence translates into a 5 percent increase in revenues.
"쌀짝 연결된" 사용자들은 "친구 따라하기" 행동 경향을 보임. 평균적으로, 이 사회적 영향은 5%의 수익 증가로 해석될 수 있음. Highly connected users tend to reduce their purchases of items when they see their friends buying them. This negative social effect reduces the revenue for this group by more than 14 percen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typical fashion cycle wherein opinion leaders or the elite in the fashion industry tend to abandon one type of fashion and adopt the next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masses.
연결 정도가 강한 사용자들은 친구가 구매하는 걸 보면 자신의 구매는 줄이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부정적 소셜 이펙트는 해당 그룹의 수익을 14%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이 발견은 전통적인 패션 시장에서 오피년 리더 또는 엘리트 급들이 대중들과 스스로를 차별화 하기 위해 한가지 패션 타잎을 포기하고 다음 패션 타잎을 선택하는 경향과 일치함.
Do Friends Influence Purchases in a Social Network?
Published: | May 21, 2009 |
Paper Released: | April 2009 |
Authors: | Raghuram Iyengar, Sangman Han, and Sunil Gupta |
Full Article 보기 -->
싸이월드 데이터를 이용, 친구가 구매 행위에 실제로 영향을 끼치는지 연구
결과는?? It depends.. 그 때 그 때 달라요...
친구의 구매행위는 사용자의 구매 가능성에 꽤 큰 그리고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러나, 사용자 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사용자의 48%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자의 12%는 부정적 영향을, 40%는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쌀짝 연결된" 사용자들은 "친구 따라하기" 행동 경향을 보임. 평균적으로, 이 사회적 영향은 5%의 수익 증가로 해석될 수 있음.
연결 정도가 강한 사용자들은 친구가 구매하는 걸 보면 자신의 구매는 줄이는 것으로 나타남. 이러한 부정적 소셜 이펙트는 해당 그룹의 수익을 14%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남. 이 발견은 전통적인 패션 시장에서 오피년 리더 또는 엘리트 급들이 대중들과 스스로를 차별화 하기 위해 한가지 패션 타잎을 포기하고 다음 패션 타잎을 선택하는 경향과 일치함.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 데이터 분석이 거창한 것이 아님을 알게 해 주는 사례 (0) | 2009.07.30 |
---|---|
[펌]고객 관리 방안 : 소비행동 관찰 후 세분화 ‘필요’ (0) | 2009.07.30 |
[링크 스크랩] 대한민국 초딩 이야기 (0) | 2009.07.23 |
[펌]50 Great Examples of Data Visualization (0) | 2009.07.23 |
국내 트위터 사용자 연령대 (0) | 2009.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