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또 하나의 매체 혁명, 개인 방송
또 하나의 매체 혁명, 개인 방송
홍성준, KT마케팅연구소, 경영학박사
얼마 전 까지만 해도 방송 매체는 특정 방송사나 전문 방송 제작가들의 몫이었다. 아무추어가 방송을 제작한다고 해도 어설픈 취미 수준이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아마추어가 직접 동영상을 만들어 인터넷에 올리는 ‘네티즌 제작 컨텐츠’ 동영상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인터넷에 올라오는 네티즌이 제작한 동영상은 하루에 수 천 건에 이른다고 한다. 동영상 커뮤니티인 다모임, 판도라TV, 엠군, 아프리카 등에는 네티즌의 눈길을 사로잡는 동영상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볼 수 있었던 콘텐츠 형식이 텍스트에서 시작해서 ‘싸이월드’에서 전성기를 구가했던 사진으로 이동하는가 싶더니 이제 동영상 컨텐츠가 만개하고 있는 것이다. 개인들이 직접 제작하고 방송하는 이 새로운 컨텐츠의 최대 강점은 시각효과가 높은 영상과 방송을 골라 들으며 방송 별 게시판에 실시간으로 댓글을 올릴 수 있는 쌍방향 의사소통에 있다. 일종의 커뮤니티처럼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개성을 중시하고 정형화된 방송에 식상한 네티즌 특히, 중·고생들이 이같은 형식의 매체를 선호한다. 형식이나 내용에 구애가 없기 때문에 지루할 틈이 없고, 해설자가 입맛대로 중계할 수 있고 경기가 끝나면 접속자 정보와 방송내용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게릴라식’ 방송이라는 매력 때문이다. 게다가 각 동영상 포털에서 제공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설치한 뒤 ‘직접 방송하기’ 버튼을 누르면 누구나 네티즌 방송을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다.
당연히 개인 방송에 대한 인기는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다. 한 인터넷 조사기관에 따르면 월간 1,300~1,500만명(중복자 포함)이 동영상 포털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한다. 개인이 방송하는 동영상의 인기가 높아지자 인터넷 업체들은 네티즌들이 직접 올리는 영상물을 확보하기 위해 한 바탕 전쟁을 치르고 있다. 네이버는 이용자가 직접 촬영한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네이버 플레이’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동영상 전체를 보지 않고도 필요한 장면을 찾아볼 수 있는 ‘장면 검색’ 기능도 있다. 다음은 대용량 동영상을 올릴 수 있는 ‘TV팟’을 오픈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SK커뮤니케이션즈의 ‘싸이월드’는 휴대폰 전송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야후코리아의 동영상 서비스 ‘야미’는 이용자들이 화면 비율과 음량 크기를 조절해 동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편집 기능을 강화했다. KTH의 파란닷컴은 코미디 영상물을 집중적으로 올리는 ‘Fun TV’를 개국했다. 동영상 커뮤니티 다모임은 ‘요가·댄스 다이어트 배워보세요’ 코너를 신설했다. 학업성적을 고민하는 10대 중고생을 위한 ‘머리 총명해지는 요가’와 유명학원의 댄스강사가 보여주는 ‘댄스 다이어트’ 영상이 인기다. 일평균 클릭수만 2만번을 웃돈다. 개인 방송은 그 주제와 방식이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런 유형의 개인 방송은 얼마 전에 끝난 월드겁을 계기로 새롭게 주목 받으며, 일대 도약을 이뤘다. “웨인 루니 선수는 어떻게 보면 귀엽게 생겼는데 또 어떻게 보면 상당히 비호감이죠. 가슴털이 목까지 튀어나왔습니다. 베컴 선수 멋있죠. 영화배우예요,영화배우. 음,여러분 죄송합니다. 방송을 전반전만 하고 마쳐야겠네요. 목소리도 다운되고,머리도 너무 아프고…. 잉글랜드전은 전반전만 하겠습니다.” 월드컵 기간에 개인 방송을 했던 닉네임이 ‘김PD’인 한 네티즌의 방송 내용이다. 김PD는 이 코너로 네티즌들 사이에서 ‘스타’가 된 인물이다. ‘김PD와 팬의 축구사랑’이란 팬카페까지 등장했을 정도다.
최근 들어 개인 방송은 일반 방송 매체처럼 영향력도 행사한다. 이미 개인 방송 중에는 네티즌의 여론 형성에 적잖은 영향을 끼치는 곳도 상당 수 있다. 판도라TV의 '동네수첩'은
기존 매체들이 갖지 못하는 다양성, 생동감과 자연스러움, 상호작용의 한계를 멋지게 극복하며 개인 방송은 다양한 영역에서 또 한번의 매체 혁명을 이뤄내고 있다. 언제나 혁명적 변화 속에는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 있다는 점을 기억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창조해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때 다.